학술논문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Parental Child-Care Division Imbalance o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First Time Parents of Newborns: The Moderating Role of Housework Division Imbalance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손승희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133~1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0세 첫 자녀를 둔 가정에서 부모 양육 및 가사 분담의 상대적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 불균형 간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였다.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패널 1차년도(2022)에 참여한 어머니 1,629명을 대상으로 어머니가 보고한 자신과 배우자의 양육및 가사 참여 비율을 기준으로 양육 분담 불균형과 가사 분담 불균형 점수를 산출하였다. SPSS 23.0과 PROCESS Macro 4.2 model 1을 이용하여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부 양육 분담 불균형과 가사 분담 불균형 모두 어머니 결혼만족도를유의하게 낮추었으며,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가 양육과 가사를 모두 상대적으로 많이담당할수록 결혼만족도 하락 기울기가 가파르게 나타났고, 반대로 아버지가 양육을 더 담당하는가정에서는 가사 분담 불균형의 부정적 효과가 완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신생아 첫 자녀를 둔가정의 부부 역할 분담의 공정성이 어머니 결혼만족도를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며 부부의 공평한 육아 및 가사 분담을 위한 부모교육 및 정책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relative imbalance in parents’ childcare and housework division affects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families with a firstborn newborn and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imbalances. Using data from the 2022 wave of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nel, we calculated childcare-division and housework-division imbalance indices for 1,629 mothers based on their reports of each partner’s share of these tasks.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 23.0 and PROCESS Macro 4.2 (Model 1)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ework imbalance. Results showed that both childcare and housework imbalances significantly lowere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interaction term was also significantly negative. Marital satisfaction declined most steeply when mothers carried a disproportionately large share of both childcare and housework, whereas in families where fathers assumed more childcare responsibilities, the negative effect of housework imbalance was attenuated. The findings highlight that perceived fairness in the division of parental roles during the newborn period is pivotal for maintaining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underscore the need for policies and programs that promote equitable sharing of childcare and housework between spouse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잠과 관련된 그림책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