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백미열 김순란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55~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P시, O시,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은 전문성 지원환경을독립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종속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Model 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및 부트스트래핑(5,000회)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 사회적 지지, 교사-영유아상호작용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으며, 향후 보육교사의 전문성 개발 및 지원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 total of 21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O City, and D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the research model,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support 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SPSS 25.0 and PROCESS Macro (Model 4)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ith 5,000 resam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s indicates that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not only directly affects teacher–child interactions but also indirectly influences them through social support.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enhanc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pport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잠과 관련된 그림책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