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I Adoption Levels: Stage-Specific Perceptions and Differences by Teacher Characteristics Based on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자 정현숙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155~19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과 활용 양상을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라 분석하고, 교사 특성(재직 기관, 지도반, 연령, 자격 유형)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경기·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SPSS 27.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ANOVA, t-검정, x²검정,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AI 수용 수준은 결정 단계가 가장 높고 실행 단계가 가장 낮았으며, 설득 단계의 하위 요인 중 ‘상대적 이점’ 인식은 높고 ‘복잡성’ 인식은 낮았다.
둘째, AI 수용 및 활용 수준은 교사의 재직 기관, 지도반, 연령, 자격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보였다. 공립유치원, 유아반, 20~30대, 유치원 정교사 자격 보유교사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용 수준과 활용도를 보였다. 셋째, 민간·가정어린이집, 영아반, 50대 이상, 보육교사 자격만 보유한 교사는낮은 수용 수준을 보였지만, 일부 돌봄 활동에서 AI 활용 비율이 높았다. 넷째, 질적 분석을 통해교사들은 AI 교육에 대한 기대뿐 아니라 실질적인 연수, 콘텐츠, 윤리적 가이드 마련의 필요성을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AI 교육 지원 및 정책 수립에 기여하며, 현장 도입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early childhood teachers' adoption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on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focusing on differences by teacher characteristics (institution type, class taught, age, qualifi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95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s, x² test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indings reveal that AI adoption was highest at the Decision stage and lowest at the Implementation stage. Among persuasion factors, perceived relative advantage was high, while perceived complexity was low. Second, adoption and utilizat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by teacher characteristics, with higher levels observed among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hose teaching older children, teachers in their 20s–30s, and those with kindergarten certification. Third, teachers in private/home childcare settings, teaching infants, aged 50+, or holding only childcare certification showed lower adoption but higher AI use in caregiving contexts. Fourth, qualitative responses highlighted both enthusiasm for AI and the need for practical training and ethical guidance. This study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differentiated AI training policies and effective AI integ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잠과 관련된 그림책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