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Grit-Based Coaching for Mothers of Infants on Parenting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도미향 민경아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113~1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5세 이하자녀를 둔 어머니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은 양육역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릿코칭은 자기효능감에도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그릿코칭과 양육역량 간의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어머니의 그릿코칭은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양육역량을 향상시키는 간접 경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교육 및 상담 개입에 있어 어머니의 심리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개입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그릿과 자기효능감 증진을 중심으로 한 실천적 부모코칭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grit coaching among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on parenting competence and empirically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is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20 mothers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it coaching by mot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competence. Second, grit coach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serv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coaching and parenting competence. In other words, mothers’ grit coaching strengthened their self-efficacy, which in turn enhanced their parenting compete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enhance mothers' internal psychological resources in parenting education and counseling.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oaching programs focused on improving grit and self-efficacy is recommended.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잠과 관련된 그림책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