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영유아교사와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와 아동문제행동 인식 차이와 관계
이용수 31
- 영문명
-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장희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3호, 213~2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와 현직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유아 문제행동 인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아동권리 인식이 문제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울⋅경기 지역의 예비교사 (1~3학년)와 현직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권리 인식은 현직 영유아교사가 가장 높았으며, 예비교사 집단에서는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나타나 교사 발달 단계 및 교육 경험의 질이 권리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유아 문제행동 인식은 예비교사 3학년에서 가장 높았고, 2학년은 대부분의 하위 영역에서 가장 낮은 인식을 보였다. 현직 교사는 다소 낮은 수준을 보이며 예비교사와 상이한 양상을 나타냈다. 셋째, 아동권리 인식과 문제행동 인식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아동권리 인식의 하위요인 중 ‘일반원칙 인식’은 문제행동 인식에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한 반면, ‘보호권 인식’은 문제행동 인식을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권리와 행동 인식 간의 균형 있는 교육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현장 연계형 권리기반 교육의 체계화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plore how perceptions of children's rights influence perceptio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rticipants included pre-service teachers (1st to 3rd year)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nd in-servic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Data were analyzed using M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in-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the highest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followed by first-year, third-year, and second-year pre-service teachers. Second,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were highest among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while second-year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lowest awareness across most subdomains. In-service teachers reported lower awareness than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Thir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Specifically, awareness of general principles positively predicted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whereas awareness of protective rights negatively predicted th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hould adopt a balanced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pproach to rights and behavior education, integrating theoretical knowledge with meaningful practice-based learning opport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관계에서 민감성과 유아의 권리존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놀이에 관한 연구
- 국내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 담론과 영유아에 대한 관점 탐색: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호주, 뉴질랜드, 한국을 중심으로
- 그림책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세계시민의식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놀이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A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와 부모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
-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 예비 영유아교사와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와 아동문제행동 인식 차이와 관계
- 유⋅초연계 관련 뉴스 기사의 담론 분석: 2008년-2025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