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놀이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A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73
- 영문명
-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implementing a digital play-ba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애정 이부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3호, 100~131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디지털 놀이를 유아의 놀이와 교육과정으로 통합해 나가는 실행 과정을 탐색하고, 그 실천 양상과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A 유치원을 대상으로 6명의 교사가 참여한 협력적 실행연구를 실시하였으며, 3차에 걸친 실행과 성찰 과정을 중심으로 교사의 수업자료, 저널, 면담, 협의록 등을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교사들은 디지털 놀이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재구성하며 ‘연결’, ‘확장’, ‘관계성’의 관점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고, 디지털을 유아의 놀이 맥락에 맞춰 통합하고자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재구성해 나갔다. 디지털은 유아의 놀이와 학습을 잇는 교육적 매개로 기능하였으며, 실행 중심의 실천은 교사 주체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전문성 형성을 지원하는 의미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rough which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grated digital play into young children’s play and the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practical aspec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at process.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ith the participation of six teachers. Data such as teaching materials, reflective journals, interviews, and meeting records were collected over three iterative cycles of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teachers reconstructed their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digital play, showing changes from the perspectives of “connection,” “expansion,” and “relationships.” They autonomously reorganized the curriculum to integrate digital media in alignment with the context of children’s play. The findings indicate that digital tools served as an educational medium that connected play and learning, and that practice-oriented implementation can offer a meaningful alternative to teacher-led curriculum design and professional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관계에서 민감성과 유아의 권리존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놀이에 관한 연구
- 국내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 담론과 영유아에 대한 관점 탐색: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호주, 뉴질랜드, 한국을 중심으로
- 그림책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세계시민의식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놀이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A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와 부모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
-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 예비 영유아교사와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와 아동문제행동 인식 차이와 관계
- 유⋅초연계 관련 뉴스 기사의 담론 분석: 2008년-2025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