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놀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A Study on educational and meaningful pla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현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3호, 22~46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의도가 포함된 놀이가 교육적으로 유의미한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내용분석 방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운영사례집의 놀이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의도가 포함된 놀이는 질적 경험놀이, 공감적 나눔놀이, 맥락의 사유놀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놀이에 서 유아는 생각과 행위가 존중받는 경험, 관계와 배움을 소중히 여기는 경험을 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유아의 의도가 포함된 놀이는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실행에 따른 놀이로, ‘놀이에서 드러나는 배움’을 폭넓게 수용함으로써 기존 5개 영역 중심의 접근이 지닌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놀이라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play and learning, including young children's intention are educational and meaningful. To this end, the play cas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lay operation casebook were analyzed as a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lay including young children's intention were qualitative experience play, empathic sharing play, and contextual thinking play. In these types of play, young children experience that their thoughts and actions were respected, and relationships and learning were valued. Based on this, it was discussed as follows. First, play including young children's intention is the substantial practice of Nuri Curriculum. Second, play including young children's intention is the educational and meaningful apporach of broadly encompasses the scope of 'learning revealed in play'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approach centered on the five domains of the exis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관계에서 민감성과 유아의 권리존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놀이에 관한 연구
- 국내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 담론과 영유아에 대한 관점 탐색: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호주, 뉴질랜드, 한국을 중심으로
- 그림책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세계시민의식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놀이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A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와 부모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
-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 예비 영유아교사와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와 아동문제행동 인식 차이와 관계
- 유⋅초연계 관련 뉴스 기사의 담론 분석: 2008년-2025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