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와 부모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
이용수 41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parents'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education for parents on young children’s righ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민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3호, 132~15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생각한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와 부모 대상 권리교육의 필요 이유 및교육 내용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Glesne(2016/2017)의 주제분석 방법에 기초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정에서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은 ‘과도한 사교육으로 인한 발달권 침해’, ‘주도성 제한에 따른 참여권 약화’, ‘상황적 제약으로 인한 보호권 약화’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대상 유아권리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유아교사들은 ‘유아권리에 대한 이해 촉진’과 ‘유아권리에 대한 실천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부모대상 유아권리교육의 내용에 대해 ‘유아를 독립적 존재로 인식하기’, ‘양육의 기준 정립하기’, ‘유아의 의견존중하기’,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 고양하기’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를 파악하고, 부모 대상 권리교육이 필요한 이유와 교육에필요한 내용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관련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parents’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reasons why rights education for parents is necessary and what content it should includ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Glesne’s (2016/2017)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were not sufficiently respected at home due to ‘infringement on the right to development caused by excessive private education’, ‘weakening of the right to participation due to restricted autonomy’, and ‘weakening of the right to protection due to situational constraints’. Second, teachers emphasized that rights education for parents is need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to ‘strengthen the practice of respecting these rights’. Third, the teachers suggested that rights education for parents should include content such as ‘recognizing young children as independent individuals’, ‘establishing standards for child-rearing’, ‘respecting children’s opinions’, and ‘fostering attitudes that respect and consider the rights of ot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parents’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derived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ights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관계에서 민감성과 유아의 권리존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놀이에 관한 연구
- 국내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 담론과 영유아에 대한 관점 탐색: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호주, 뉴질랜드, 한국을 중심으로
- 그림책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세계시민의식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놀이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A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와 부모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
-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 예비 영유아교사와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와 아동문제행동 인식 차이와 관계
- 유⋅초연계 관련 뉴스 기사의 담론 분석: 2008년-2025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