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관계에서 민감성과 유아의 권리존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이용수 60
- 영문명
- The effect of teacher’s empathy on competence for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n teacher’s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황윤세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3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관련 변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유치원교사 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의 실천역량 간의 관계에서 민감한 상호작용과 유아의 권리존중의 직렬다중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강원, 경기, 그리고 서울 지역 유치원 교사 339명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공감능력, 민감 한 상호작용, 유아권리존중 및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를 나타냈 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간의 관계에서 민감한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권리존중에 영향을 주는 직렬다중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과 더불어 민감한 상호작용이 유아권리존중은 유치원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을 높이기 위한 주요한 요인이며 더불어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임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고양을 위해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공감능력, 민감한 상호작용 방안 및 유아권리 존중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사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ers’ competency in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nsitive interaction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athy and their competency in practicing a play-bas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were 389 kindergarten teachers from the Gangwon, Gyeonggi, and Jeollanam-do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ion analysis through the AMO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eachers’ empathy, sensitive interaction,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and competency in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Second, sensitive interaction influenced the competency in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through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s confirm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addition to empathy, teachers’ sensitive interaction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are key factors in enhancing their competency in delivering a play-based curriculum. Theref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prioritize fostering empathy, strategies for sensitive interactions, and education 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Furthermore,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various factors that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a play-bas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관계에서 민감성과 유아의 권리존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놀이에 관한 연구
- 국내외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페다고지 담론과 영유아에 대한 관점 탐색: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호주, 뉴질랜드, 한국을 중심으로
- 그림책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세계시민의식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놀이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A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부모의 유아권리 존중 실제와 부모 대상 유아권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
-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 예비 영유아교사와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와 아동문제행동 인식 차이와 관계
- 유⋅초연계 관련 뉴스 기사의 담론 분석: 2008년-2025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