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이용수  0

영문명
Confusion about “Cultural Heritage”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ions on Improvement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백은진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187~19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학년 및 4학년에서 다루는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변경과 최근 혼란의 주요 쟁점을 다루었다. 국가유산기본법의 제정 이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 사회 교과서는 국가유산기본법에 따른 용어와 정의를 반영하여 서술하였다. 이에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교과서에 명시된 ‘문화유산’의 의미는 모두 유형의 문화유산을 뜻하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국가교육위원회와 국립국어원도 해당 법의 시행에 맞춰 국가 교육과정 문서와 표준국어대사전을 정비하면서 국가유산기본법의 용어와 정의를 반영하였다. 그러나 국가 교육과정의 고시, 관련 법령의 제정, 검정 교과서 집필, 관련 법령의 시행, 국가 교육과정의 수정 고시, 표준국어대사전의 수정 등의 과정에서는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여러 혼선과 모순이 나타났다. 애초 국가유산기본법은 그 제정 취지에서 유네스코 등 관련 국제 협약 체계와의 일관성을 고려한 것임을 밝히고 있지만, 유네스코 등 관련 국제 협약이 문화유산을 유형의 유산으로만 구분하지 않고 있고, 세계기록유산 등의 유형유산은 별도로 분류하며, 무형문화유산이라는 용어와 개념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 과목의 문화유산 교육에서 문화유산을 유형의 유산으로 한정하여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서 야기되는 혼란과 모순, 그것의 배경과 쟁점을 살펴보고 향후 개선을 위한 성찰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dresses the changes in “cultural heritage” terminology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a for third and fourth elementary grades and the resulting confusion and key issue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Heritage Basic Law (NHBL), third- and four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to align with the 2022 curriculum, incorporated the NHBL’s terminology and definitions: thus “cultural heritage” is now limited to 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ls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o reflect the NHBL’s terminology and definitions. Despite these changes, while issuing the national curriculum, enacting related laws, writing textbooks, and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ictionary, several inconsistencies and contradictions in cultural heritage’s definition emerged.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national heritage” has replaced “cultural heritage,” which has come exclusively to mean “tangible heritage.” Although the NHBL was intended to align with such international agreements as UNESCO’s, it seems that UNESCO and other international conventions do not classify cultural heritage solely as tangible heritage, distinguish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using both terms in their definitions.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issues causing problems with meaning, this study examines the confusion and contradictions arising from cultural heritage taught and assessed exclusively as tangible heritage in third and fourth grades. It also offers reflec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cultural heritag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혼란의 배경
Ⅲ. 혼란과 모순의 주요 쟁점
Ⅳ. 결 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은진. (2025).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교육논총, 45 (3), 187-198

MLA

백은진.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교육논총, 45.3(2025): 187-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