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AI in Counseling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황매향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15~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상담에 미치는 영향 및 그에 대한 대처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이라는 서비스가 과연 AI로 대체될 수 있느냐는 질문을 중심으로 제기되었던 여러 가지 논의와 실제 AI 기술이 적용되었던 상담 서비스를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에서 정신건강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제안된 AI 서비스를 셀프헬프 AI, 디지털 치료제, 소셜로봇을 중심으로 활용 상황을 종합하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상담과 가장 밀접히 관련된 AI 서비스인 AI 챗봇 상담자의 발달과정, 대표 사례, 상담 성과 등을 통해 AI 상담의 가능성과 한계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AI 시대에 상담자들에게 맡겨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AI 상담자의 한계 및 융합적 활용과 AI 윤리적 사용의 책무성 측면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discussions on the impact of AI technology on counseling, examine professionals’ adaptations, and identify future tasks. It analyzed academic discussions, particularly those addressing whether counseling can be replaced by AI, drawing on published academic studies of counseling services that incorporate AI technology. First, the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proposed AI-based mental health services, with a focus on digital therapeutics, self-help applications, and social robots. Next, the study examined AI chatbot counseling services, which were developed specifically for counseling. These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development process, representative cases, and counseling outcomes. Lastly, the study identified the emerging responsibilities of counselors in the AI era derived from discussions on the potential for AI counselors, the integration of AI into counseling practice, and the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AI.
목차
Ⅰ. 서 론
Ⅱ. 정신건강 분야에 제안된 AI 서비스
Ⅲ. 상담자를 대신할 AI 챗봇 상담자
Ⅳ. AI의 한계와 상담자의 역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교육대학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대학 적응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T-GOLD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환경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