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formations and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Global Service-Learning in Philippine Preschool: Changes in the image of local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윤갑정(Gab-Jung Yo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357~3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필리핀 유치원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필리핀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와 서비스러닝 경험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D 대학교 아동복지상담전공 2학년 7명 학생들로, 사전·사후 집단면담, 개별 활동일지와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의 사전 필리핀 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가난하고 노동을 하는유아’, ‘바깥에서 친구들과 몸으로 노는 유아’, ‘행복지수가 높아 항상 웃고 있는 유아’로나타났다. 사후 이미지는 ‘교복을 입은 단정하고 다정한 유아’, ‘교실에서 학습에 열중하는 유아’, ‘자율성이 부족한 안쓰러운 유아’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서비스러닝을 통한 학생들의 경험은‘유아교실환경에 따른 불평등한 교육’,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중요성’, ‘전공 자부심과 문화적 역량향상’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글로벌 서비스러닝이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편견자각과비판적사고및문화적역량을높일수있는방안임을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image changes of Filipino children and the service-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global service-learning program at a kindergarten in the Philippines. Method: Seven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Child Welfare and Counseling at D University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group interviews, individual activity logs, and reflective journals. Results: Filipino children were perceived as “poor and working,” “playing outside,” and “always smiling.” After the experience, they were viewed as “neatly dressed and kindly,” “focused on learning,” and “lacking autonomy.” The service-learning experiences revealed insights into educational inequality, the importance of play-based curriculum, and enhanced professional identity and cultural competenc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global service-learning can foster cultural awareness, critical thinking, and cultural competence in pre-service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 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교육 중간지원조직 운영 정책 방향 탐색: 한국과 일본 사례 고찰에 기초하여
- 지산학 교육공동체 기반 Co-Op교육의 3개년 효과성 분석: 지역인재 정주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생·교원·산업체 인식을 중심으로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연구
- 초등교육분야 국내 PBL 연구 동향 분석
- 초등일반교사 통합교육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 학교-지역사회 연계 요소에 관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인식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제도적 재구조화 논의: H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놀이학습공동체 기반 보육과정 컨설팅에 참여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탐구: 놀이와 교육내용을 통한 배움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지원 요구 및 방향고찰: 질적메타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동과 권리 인식연구: 아동권리와 복지 수업의 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 지역문학으로서의 현대시 공간 교수 설계 연구
- 학교상담자의 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동료 컨설팅의 과제
-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장-뤽-낭시 ‘무위(無爲)의 공동체론’을 중심으로
- 생존분석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의 중도 탈락 영향 요인분석
- 필리핀 유치원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와 경험: 현지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언향적 단계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요구하기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역량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및공감피로간관계: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