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Change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Representation of the 1811 Hong Gyeong-nae Rebell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강석화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83~1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정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45년부터 2020년대 초까지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된 홍경래의 난에 대한 내용의 변화를 교육과정 시기별로 정리한 것이다. 1950년대까지 홍경래의 난은 한국사 교육의 중요한 소재였으나 1960년대에는 반드시 가르쳐야 할 내용 요소로 인정되지 않았다. 70년대 이후 한국사 교육이 강화되면서 교과서 내용이 상세해지고 분량도 늘어나는 변화를 보인다. 1990년대 이후에도 한국사 과목의 내용 중 전근대사의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에도 홍경래의 난에 대한 서술 분량은 유지되고 있다. 홍경래의 난은 1811년 12월에 시작되어 1812년 4월까지 지속된 평안도 지역의 반란으로, 조선 시대에 일어난 반란 중 가장 정치⋅사회적 파장이 큰 사건이었다. 서북 지방에 대한 차별, 세도 정치의 폐해와 삼정의 문란, 연이은 흉년, 평안도의 경제적 변화, 지역 상인의 성장, 다양한 계층의 참여, 농민층의 호응 등 다양한 요소가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 단순한 지역반란이나 농민전쟁으로 보기 어려운 홍경래의 난을 “평안도 농민전쟁”이나 “19세기 농민의 저항”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역사의 발전과 진보가 계급투쟁에 따른 것이라는 목적 사관에 입각한 지나친 일반화이다. “사회 질서의 동요”, “새로운 사회의 모색” 등 기존 질서의 재편이나 체제 변화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 개념에 입각한 용어로 바꾸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이미 정해진 교육과정과 이미 관념화되고 틀이 잡힌 시대 구분론 및 사건에 대한 의미 부여의 현실을 개선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작업이 될 것이다. 본 연구가 그러한 문제 제기와 상황 개선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portrayed the 1811 Hong Gyeong-nae Rebellion from 1945 to the early 2020s by focusing on shifts across different curriculum periods. Until the 1950s, the rebellion had been a central topic in history education but lost such status in the 1960s. Since the 1970s, as history education expanded, textbook narratives have become more detailed and extensive. Even after the 1990s, with the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premodern history in the curriculum, coverage of the rebellion remained largely consistent. The rebellion, which took place from December 1811 to April 1812 in Pyeongan Province, was one of the most politically and socially significant upris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actors that drove this even included discrimination against the northwestern provinces, abuses of sedo (factional) politics, corruption in the Samjeong system (taxation, military service, and land management), successive famines, economic changes in the region, the emergence of local merchants, and support from diverse social groups, especially the peasantry. In addition, defining the event solely as a regional uprising or peasant war is an overgeneralization rooted in class-strug gle-oriented historiography, and more nuanced interpretations, such as “social disruption” or “search for a new social order,” may better captur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challenges surrounding the revision of entrenched curricular frameworks, providing a starting point for reconsidering conventional historical narratives.
목차
Ⅰ. 서 론
Ⅱ. 홍경래 란의 전개 과정
Ⅲ. 한국사 개설서에 수록된 홍경래 란 관련 내용
Ⅳ. 교과서의 홍경래란 관련 서술 내용의 변화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교육대학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대학 적응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T-GOLD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환경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