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Impact of Literacy-Based Remote Instruction on Elementary Students’ Social Interaction and Reader Awareness: Differential Effects Based on Family Background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선영 유백산 최인찬 류수경 임혜정 김가은 이채윤 김아리따스란 Peter Afflerbach 조병영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105~1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ZOOM 기반 소집단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가정 배경 변인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상호작용과 독자 인식에 어떠한 차별적 효과를 지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삶의 만족이라는 주제로 ‘함께 읽고, 쓰고, 대화하고, 소통하는’ 리터러시 활동을 강조한 12차시 원격수업 프로그램(ImWELL)을 개발 및 적용하고, 프로그램 참여의 효과성을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간에는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고, 프로그램 적용 이후에도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극복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가구소득에 따라 프로그램의 참여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의 경우에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상호작용 중 ‘참여’, 독자 인식 중 ‘내적 감정 상태’ 영역에서 큰 폭의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저소득층 학생들이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능동적 참여 의지를 키우고 자신의 읽기 행위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ImWELL 프로그램과 같은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ted effects of ImWELL (Interactive Remoted Instruction for Children’s Well-Being and Engaged Literacy Learning) on social interaction and reader aware ness among elementary students according to family background variables. It developed and implemented a 12-session program focusing on literacy activities that emphasize “reading, writing, talking, and communicating together” and assessed its effectiveness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growth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program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interaction and reader awareness but had varied effects according to students’ household income. For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interaction, specifically “participation,” and in reader awareness, particularly “internal emo tional stat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mplemented program especially helped provide low-incom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active interaction and foster a positive awareness of reading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교육대학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대학 적응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T-GOLD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환경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