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이용수 0
- 영문명
- Understand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with Simulated Teaching to Support Play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조운주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67~8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지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22명의 면담, 자기 성찰지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활동 모의수업 준비에서 틀에 따른 대사 암기와 연습, 교수 자료 제작에 매진했던 것과 달리 놀이 지원 모의수업에서는 유아 요구나 확장성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놀잇감 및 재료 지원을 준비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활동 모의수업 실행에서 정형화된 연극을 경험했으나, 놀이 지원 모의수업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진짜 놀이를 경험하였고, 교사 개입을 걱정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이 활동 모의수업에서 편안함과 지루함의 한계를 인식한 것과 달리, 놀이 지원 모의수업에서는 생소함과 재미를 느꼈고,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흥성이 힘든 예비유아교사는 활동 모의수업, 임기응변이 강한 예비유아교사는 놀이 지원 모의수업을 선호하였다. 예비유아교사 교육 방법에 대한 교수자들의 성찰과 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with simulated teaching to support play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interviews and self-reflection papers from 22 second-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a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region of South Korea. The findings showed that, first, instead of preparations for activity-based simulated teaching, whe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ed on memorizing scripts, practicing, and creating teaching materials, they planned for play-supportive simulated teaching by anticipating children’s needs and possible extensions and organizing play materials and resources. Second, when conduct ing activity-based simulated teaching, these teachers followed a scripted performance, but in play-supportive simulated teaching, they encountered unpredictable, authentic play and expressed concerns regarding teacher intervention. Third, although these teachers felt comfortable in activ ity-based simulated teaching, they identified boredom as one of its limitations; meanwhile, despite being unfamiliar with play-supportive simulated teaching, they found it enjoyable and believed it could foster their ability to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Those who struggled with improvisa tion preferred activity-based simulated teaching whereas those with strong adaptability skills favored play-supportive simulated teach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educators must reflect on and reconsider methods of teach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교육대학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대학 적응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T-GOLD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환경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