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Practical Factors for Teaching the Physical Education Expression Domain i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강순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53~6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가 체육교과의 표현 영역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실천적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가 표현 영역 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함께 수업 운영을 위한 고려사항, 준비 요소, 그리고 요구되는 교수 역량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함께 A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 1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후 질문지 조사에서 빈도수 기반 내용 분석 연구 방법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 영역 수업에서 어려움은 정확한 시범/동작 제시, 설명의 구체성/명확성, 학생 수준에 맞는 난이도 선정 등이다. 둘째, 표현 영역 수업에 필요한 고려사항은 학습 목표, 학생 수준/적절한 난이도, 표현 능력/신체 발달 등이다. 셋째, 표현 영역 수업에 필요한 준비 요소는 교사의 시범 및 실기 능력, 시청각 자료의 활용, 교사의 충분한 이해 및 준비 등이다. 넷째, 표현 영역 수업에 필요한 교수 역량은 의사 소통 능력, 표현력, 창의력 등이다. 다섯째, 표현 영역 수업에 대한 생각 및 소감은 표현 영역의 중요성 인식, 수업 준비 및 운영의 어려움, 시범의 중요성 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는 표현 영역 수업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확한 시범 제시와 명확한 설명을 수행할 수 있는 실기 능력과 교수 역량을 체계적으로 함양해야 한다. 둘째, 예비교사는 학생의 발달 단계와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설계 능력을 길러야 하며, 이를 위해 시청각 자료와 다양한 보조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을 습득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practical variables that facilitat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lessons in the expression domain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the required preparatory elements, and the necessary teaching competencies for instructio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17 third-year students from University A and underwent frequency-based content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chal lenges in providing accurate demonstrations, delivering clear explanations, and selecting the appropriate task difficulty for students’ developmental levels. For effective instruction, key consid erations included setting learning objectives, adapting to students’ abilities, and recognizing expressive potential. Preparatory elements included practical demonstration skills, audiovisual and supplementary materials, and thorough lesson planning, and essential teaching competencies were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and expressiveness. The participant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xpression domain while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of lesson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eservice teachers must undergo systematic training to strengthen their practical expertise, develop lesson design skills that address individual differ ences, and effectively integrate diverse instructional resources into expression domain teach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교육대학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대학 적응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T-GOLD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환경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