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Latent Class Categoriz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Trajectori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among Youth during the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정수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147~1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을 유형화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아동패널 12∼15차 자료(n=1,023)를 활용하여 잠재계층 성장모형(LCGA)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 수행 능력 궤적은 ‘고수준 유지형(51.8%)’, ‘고수준 급감형(36.5%)’, ‘중수준 감소형(11.7%)’으로 유형화되었다. 고수준 급감형은 초6에서 중1로 전환기에 급격한 하락을 보였고, 중수준 감소형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궤적을 나타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수준 유지형에 비해 고수준 급감형에 속할 가능성은 남학생일수록, 부모 학력이 낮을수록, 초6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초6 사교육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중1 시기 학습활동 적응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고수준 유지형에 비해 중수준 감소형에 속할 가능성은 남학생일수록, 부모 학력이 낮을수록, 초6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초6 학습활동 적응이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특히 초6 교사관계 적응이 높을수록 속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예상 밖의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중 전환기 학업 성취 하락 완화를 위한 논의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youth’s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and classifi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trajectories as well as identified influencing factors.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aves 12–15, n= 1,023) and underwent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indings showed that these students experienced three trajectory types: high-stable (51.8%), high-declining (36.5%), and moder ate-declining (11.7%). The high-declining group showed a sharp drop from Grade 6 to Grade 7, while the moderate-declining group showed a gradual decrease from a lower baselin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d with the high-stable group, the likelihood of joining the high-declining group was higher for males, students with lower parental education, higher academic stress in Grade 6, and lower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Grade 6 but lower for those with higher academic engagement in Grade 7. For the moderate-declining group, the likelihood increased for males, lower parental education, higher academic stress in Grade 6, and lower academic engagement in Grade 6; interestingly, higher Grade 6 teacher relationship was also associated with group member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implement targeted school-based support and policy interventions to mitigate academic decline during school trans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lso presents discus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교육대학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대학 적응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T-GOLD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환경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