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chool-Wide Life Guidance Based on Positive Behavioral Support: The Case of a Small Public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조은선 김수연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5권 제3호, 163~1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립 초등학교에서 전체 학교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생활지도의 일환으로 긍정적행동지원을 적용하면서 그 실행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현장 학교는 7개의 학급에서 58명의 학생과 28명의 교직원이 생활하고 있는 소규모 학교이며,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의 다층지원체계 중에서 1차 예방인 보편적 지원을 적용하였다. 실행 요인과 실행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확인하기 위해 교직원 면담 자료,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생 행동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생 행동 관찰 기록지, 학생 자기 보고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을 기반으로 한 생활지도가 작동되기 위한 실행 요인은 6가지로 도출되었다: 시스템, 실제, 자료, 성과, 형평성, 맥락적 요소.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가장 큰 어려움은 교직원들이 학생들에게 물질적인 강화제를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격려하는 것이었다. 어려움의 근본 원인은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적극적인 정서적 지지의 부족이었다.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은 특정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학생들의 생활지도를 위해 학교 구성원 모두가 협력하는 협의 체계라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이 협의 체계가 원활하게 작동되기 위한 요인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a public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examined key factors that drive the im plementation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SW-PBS) within a collaborative life guidance model that actively engages all members of the school. This research targeted a small-scale institution composed of 58 students and 28 faculty members distributed across seven classes, and the investigation focused on a whole-school application of universal support—tier 1 of the multilevel PBS framework. To explore the factor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PBS implement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documents. Student behavior log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lso used to evaluate changes in student conduct throughout the intervention. The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revealed six major factors: a decision-making system, data, practices, equity, outcomes, and contextual factors. The most prominent challenge identified was the need for faculty and staff to consistently encourage students, which often involved material incentives. This difficulty was largely attributed to a lack of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investment in PBS principles at the institutional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교육대학의 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적용 상담 실제의 가능성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대학 적응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T-GOLD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교과 표현 영역 수업 운영을 위한 실천적 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지원 모의수업 경험 이해
- 1811년 홍경래의 난에 대한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
- 리터러시 원격수업이 초등학생의 상호작용 및 독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배경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환경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 초⋅중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 수행 능력 변화 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학교차원 긍정적행동지원’ 기반의 생활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소규모 공립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역사 영역에서 ‘문화유산’ 용어에 대한 혼란과 개선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