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버지의 유아기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중감과 집행기능의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Fathers' Warm Parenting Behavior in Infancy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 Comparison of the Single Mediation Effect and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채수은 박소연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3호, 107~12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집행기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단일매개모형과 이중매개모형을 비교하였다. 한국아동패널 7차(만 6세), 8차(만 7세), 9차(만 8세)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부모 및 담임교사의 평가를 포함한 841명(남아 431명, 여아 41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경로 분석 결과,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만 6세)은 학교 적응(초2)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초1)과 집행기능(초1)을 매개로 간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단일매개모형에서는 자아존중감 또는 집행기능을 통한 경로가 확인되었으며, 이중매개모형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집행기능을 매개하여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검증되었다. 이중매개모형이 단일매개모형보다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는 자아존중감과 집행기능의 연속적 경로가 아동의 학교 적응을 보다 정교하게 설명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심리⋅인지적 발달을 거쳐 학교 적응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warm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comparing the single and sequential mediation models.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7th wave at age 6, 8th wave at age 7, and 9th wave at age 8), including 841 children (431 boys, 410 girls) along with parent and teacher evaluations, were analyzed. Path analysis revealed that father’s warm parenting behavior at age 6 did not directly affect school adjustment in second grade but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self-esteem (1st grade) and executive function (1st grade). The single mediation model confirmed pathways through self-esteem or executive function, while the sequential mediation model validated a two-step process where self-esteem influenced executive function, which in turn affected school adjustment. The sequential mediation model showed superior fit, suggesting that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together provide a more precise explanation of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long-term impact of father’s parenting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psycholog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수은,박소연. (2025).아버지의 유아기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중감과 집행기능의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비교. 인간발달연구, 32 (3), 107-120

MLA

채수은,박소연. "아버지의 유아기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중감과 집행기능의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비교." 인간발달연구, 32.3(2025): 107-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