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이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 f Childcare Te ache rs’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Efficacy on Their Intention to Accept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유빈 조유미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3호, 31~4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가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을 매개로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대구, 경북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리터러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6.0의 PROCESS macro 모델 4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는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은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는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는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인공지능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체계적인 지원과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intention to accept AI-based education through AI teaching efficac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I literacy, AI teaching efficacy, and intention to accept AI-based education from 217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of SPSS 26.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I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I-utilizing education recipients. Second, the AI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I-utilizing education recipients. Third, the AI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I fall efficacy. Fourth, the AI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AI-based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I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systematic support and education are needed to enhance teachers’ AI literacy and teaching efficacy to promote the use of AI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신체놀이가 만 3세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유기불안과 성인초기 관계중독 경향 간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이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알레르기 질환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학업 기술의 관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매개효과
-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 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매개효과
- 부모의 합리적 설명과 중학생 학업수행능력의 관계: 자율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아버지의 유아기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중감과 집행기능의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