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 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yles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on Undergraduate Students’ Procrastination: The Mediating Rol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이정현 이운경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3호, 73~9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을 매개로 일반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25세 사이의 국내 대학생 263명(남성 131명, 여성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사회부과 완벽주의, 우울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돌봄 및 과보호와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과보호는 우울을 매개로 지연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돌봄이 우울을 매개로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돌봄과 과보호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지연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역기능적 행동 중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일반적 지연행동에 주목하였으며, 이에 대한 발달적 기제로서 성장기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지연행동을 이해하고, 예방 및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yles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on undergraduate students’ general procrastination,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3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131 males, 132 females), aged 18–2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pathways from maternal care and overprotection to procrastination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care and overprotec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rocrastination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lone. Second,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on procrastination through depression, while the indirect effect of maternal care through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both maternal care and overprotec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procrastination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general procrastina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a dysfunctional behavior tha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when compared to academic procrastina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developmental role of maternal parenting, particularly low care and high overprotection, in shaping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hich may contribute to procrastination. The findings may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s and support groups seeking to understand and intervene in students’ procrastination.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신체놀이가 만 3세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유기불안과 성인초기 관계중독 경향 간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이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알레르기 질환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학업 기술의 관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매개효과
-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 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매개효과
- 부모의 합리적 설명과 중학생 학업수행능력의 관계: 자율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아버지의 유아기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중감과 집행기능의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