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신체놀이가 만 3세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Digital Media Use and Physical Play on Expressive Vocabulary of 3-Year-Old Childre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Language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미진 최나야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3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3세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신체놀이,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이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세 유아 11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으로 표현어휘력을 검사하고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신체놀이,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시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 신체놀이 시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Pearson 적률상관계수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만 3세 유아의 일 평균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시간이 짧을수록 표현어휘력 점수가 높고, 일 평균 신체 놀이 시간이 길수록 표현어휘력 점수가 높았다. 둘째,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시 부모-유아 간 언어 상호작용은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놀이 시 부모-유아 간 언어 상호작용은 신체놀이와 표현어휘력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시 부모-유아 간 언어 상호작용이 풍부할수록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digital media use, physical play and parent-child language interaction on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Participants were 116 3-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Seoul and Gyeonggi regions in South Korea. 3-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expressive vocabulary tests, while their par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TATA 18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orter daily digital media use was associated with higher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On the other hand, the longer children spent playing physically everyday, the higher their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Second, parent- child language interaction during digital media use was found to moderate its impact on expressive vocabulary. In contrast, parent-child language interaction during physical play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lay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child language interaction can help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media use on expressive vocabulary. Additionally, th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moting healthy digital media use, physical play and language interaction habits to support early vocabulary development.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신체놀이가 만 3세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유기불안과 성인초기 관계중독 경향 간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이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알레르기 질환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학업 기술의 관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매개효과
-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 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매개효과
- 부모의 합리적 설명과 중학생 학업수행능력의 관계: 자율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아버지의 유아기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중감과 집행기능의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