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mmigrant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유위 최지영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3호, 59~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중문화 수용태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에 참여한 중도입국 청소년 30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22.0과 Mplus 8.0을 통해 잠재성장모형(LGM)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뚜렷한 변화 추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기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초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으며, 초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초기 삶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각각 삶의 만족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기수준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종단적 매개효과는 변화율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심리적 안녕을 증진하기 위해 초기 적응 단계에서는 스트레스 조절 지원이, 후기에는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건강한 문화정체성 발달을 촉진하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longitudinal changes i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mmigrant adolesc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Data from 308 adolescents in the second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2019–2023) were used. Results showed that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decreased over time, while cultural adaptation stress showed no clear trend. Higher initial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as linked to lower initial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higher initial stress was related to lower life satisfaction. Moreover, both the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i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had an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ough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at the change rate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pporting immigrant adolescents with stress management in the early adaptation stage and promoting bicultural acceptance and cultural identity in later stage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신체놀이가 만 3세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유아 언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유기불안과 성인초기 관계중독 경향 간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이 인공지능활용 교육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알레르기 질환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학업 기술의 관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매개효과
- 성장기에 경험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 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매개효과
- 부모의 합리적 설명과 중학생 학업수행능력의 관계: 자율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아버지의 유아기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 중감과 집행기능의 단일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