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기불안과 성인초기 관계중독 경향 간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andon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During Early Adulthood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김민수 김연수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3호, 17~2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기불안이 관계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친밀한 대인관계 형성과 유지가 주요 발달과업 중 하나인 성인 초기 남녀를 대상으로 유기불안 척도, 관계중독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388명의 자료를(남 179명, 여 209명)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PROCESS macro model 4, 6을 사용해 분석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불안이 관계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기불안이 관계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유기불안이 관계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 정서조절곤란 각각의 부분매개효과 뿐만 아니라 순차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기불안이 관계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유기불안을 느끼며 관계중독을 경험할 경우, 부정적 정서 조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distress toleranc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bandon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erging adults, an age group in which close relationship formation is known to be particularly salient, using standardized measures of abandonment anxiety, relationship addiction, distress toleranc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ata from 388 participants (179 male, 209 femal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s 4 and 6 to test for mediation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stress tolera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bandon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same relationship. Third, both individual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igh abandonment anxiety may be more susceptible to relationship addiction, and that this vulnerability is exacerbated by low distress tolerance and poor emotion regulation. Therefore,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capacities may be essential for individuals experiencing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ddictive relational pattern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수,김연수. (2025).유기불안과 성인초기 관계중독 경향 간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2 (3), 17-29

MLA

김민수,김연수. "유기불안과 성인초기 관계중독 경향 간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2.3(2025): 17-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