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성가미 박영순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7권 제3호, 171~19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 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최근 아동의 심리적 회복력과 정서적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 및 환경 적응 능력 간의 관계를 탐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350명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부모양육태도, 정서지능, 적응유연성에 대한 표준 화된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4.2(Model 4)를 사용해 매개효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정서지능과 적응유연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지능이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부모양육태도 역시 정서지능과 적응유연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이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간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적응유연성 간 관계에서 핵심적인 심리적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하며, 부모교육 및 정서교육 프 로그램, 상담 개입의 이론적·실천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resilience. As interest in children's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emotional competence has grown recently, this study explored how parenting attitudes influ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 turn, affect resil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in Busan, South Korea, using standardized scales for parenting attitud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4.2 (Model 4) to test the mediating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with emotional intelligence partially mediating this relationship.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lso negatively affect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and their indirect effect on resilience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al intelligence functions as a key psychological mechanism linking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ffer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emo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해석역학의 일반공변적 형식화에 대하여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초등학교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중심으로
- L1(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수어 문자 쓰기 과제의 YOLO-v8 기반 자동 채점 탐색 연구 : 시각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교육학 개론 수업에서의 학습 경험 분석 연구
- 제주방언 ‘검다’ 계열 색채어 형용사 연구
- 배경변인을 중심으로 한 정서지능과 우울이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 SSTQUAL 서비스품질을 활용한 나이스플러스(NEIS+) 서비스에 대한 고등학생의 수용 의도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정조(正祖)의 경연(經筵) 시행 연구: 「일득록(日得錄)」을 중심으로
- 플라톤의 비판에 대한 응답으로서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가(mousikē) 교육론 연구
- 한나 아렌트의 ‘사유(Thinking)’ 개념의 교육적 함의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