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STQUAL 서비스품질을 활용한 나이스플러스(NEIS+) 서비스에 대한 고등학생의 수용 의도 검증
이용수 9
- 영문명
- Verifi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doption Intention of the NEIS+ Service Using SSTQUAL-Based Service Quality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백옥련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7권 제3호, 195~2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4세대 나이스를 확장하여 개발한 디지털 플랫폼인 나이스플러스 서비스에 대한 고등학생의 수용 의도를 검증하여 그 향 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나이스플러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 경험이 있는 전국 2개 연구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생 767명을 대상으로 서비스품질 측정 도구인 SSTQUAL 서비스품질과 TAM 요인을 토대로 제작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시행하고, 측정 도구에 대한 타당도(TLI .930, CFI .982, NFI .965, RMSEA .47), 신뢰도 (Cronbach’s α. 786)가 측정 모형의 적합성을 확보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의 적합 도 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이 유의하다는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각 요소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SSTQUAL 서비스품질의 기능성, 디자인성, 보안성, 즐거움, 확신성과 TAM의 지각된 용 이성, 지각된 용이성, 수용 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 나아가면 나이스플러 스의 수용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enhance the adoption of NICE+, a digital platform developed by expanding the 4th-generation NEIS currently used in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verifying high school students’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based on a survey of 767 students from two pilot schools with experience using NICE+, utilizing the SSTQUAL service quality model and TAM factors, and confirming the validity (TLI .930, CFI .982, NFI .965, RMSEA .047) and reliability (Cronbach’s α .786) of the measurement model, follow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path analysis, which showed that each factor had a high correlation and positive effect, indicating that improving the functionality, design, security, enjoyment, and assurance of SSTQUAL service quality model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 TAM can increase acceptance of N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해석역학의 일반공변적 형식화에 대하여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초등학교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중심으로
- L1(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수어 문자 쓰기 과제의 YOLO-v8 기반 자동 채점 탐색 연구 : 시각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교육학 개론 수업에서의 학습 경험 분석 연구
- 제주방언 ‘검다’ 계열 색채어 형용사 연구
- 배경변인을 중심으로 한 정서지능과 우울이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 SSTQUAL 서비스품질을 활용한 나이스플러스(NEIS+) 서비스에 대한 고등학생의 수용 의도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