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나 아렌트의 ‘사유(Thinking)’ 개념의 교육적 함의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annah Arendt’s Concept of Think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저자명
서초이(Cho-Yi Seo) 김재춘(Chae-Chun Gim)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제39권 제3호, 117~1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교육은 지식을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고, 학습자를 정해진 결과물을 산출하는 ‘수행 가능한 존재’로 길러내는 데 집중한다. 이러한 경향은 인간의 사유 활동을 확실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해 온 서구 전통철학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이런 철학적 전통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한 인물 중 한 사람이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이다. 아렌트는 사유를 진리 인식의 방법론으로 간주하는 전통철학과 달리, 자기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검토하는 실천과 관련된 활동으로 본다. 본 연구는 전통 철학의 사유틀 속에서 인식과 수행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대안으로 아렌트의 사유(thinking) 개념에 근거한 새로운 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전통 철학의 사유 방식을 ‘탈현실화’와 도구화라는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전통 사유의 대안으로 아렌트가 제시한 새로운 사유 개념의 특징을 분석하며, 셋째, 아렌트 사유 개념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아렌트의 사유는 고정된 정체성을 전제하거나 진리를 확증하는 인식론적 활동이라기보다는 자기 자신과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주체가 지닌 기존의 의미를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실존적 과정이다. 이러한 아렌트의 사유는 첫째, 지식 중심 교육을 세계와 접촉하는 교육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둘째, 학습자를 ‘수행 가능한 존재’를 넘어 ‘응답 가능한 존재’로 기르는 주체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Current school education increasingly conceives of knowledge as a tool for problem-solving and prioritizes the cultivation of learners as “performative beings.” This instrumental orientation is closely tied to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which has long regarded thinking as a means to attain certain and objective truths. Political theorist Hannah Arendt is among those who critically interrogate this tradition, reconceiving thinking not as epistemological verification but as a reflective, dialogical activity concerned with meaning-making in relation to the world.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rendt’s notion of thinking as an alternative to performativity-driven models of learning rooted in traditional philosophical frameworks. The argument proceeds in three stages: first, by diagnosing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odes of thought through the lenses of de-realization and instrumentalization; second, by analyzing the defining features of Arendt’s alternative conception of thinking; third, by articulating the implications of this conception for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rendtian thinking, as elaborated in The Life of the Mind, is not directed toward the affirmation of fixed identities or the acquisition of truth. Instead, it emerges as an existential and interruptive process—an inner dialogue through which the subject deconstructs inherited meanings and opens new spaces of significance. As such, it invites a pedagogical reorientation in two respects: first, a shift from knowledge-centered instruction to education that fosters worldly engagement. Second, as a movement beyond the figure of the “performative subject” toward the formation of “responsive beings” capable of ethical judgment and situated reflect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전통적 사유에 대한 아렌트의 비판
Ⅲ. 아렌트의 새로운 사유의 의미
Ⅳ. 아렌트 사유 개념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초이(Cho-Yi Seo),김재춘(Chae-Chun Gim). (2025).한나 아렌트의 ‘사유(Thinking)’ 개념의 교육적 함의 탐색. 교육사상연구, 39 (3), 117-138

MLA

서초이(Cho-Yi Seo),김재춘(Chae-Chun Gim). "한나 아렌트의 ‘사유(Thinking)’ 개념의 교육적 함의 탐색." 교육사상연구, 39.3(2025): 117-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