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조(正祖)의 경연(經筵) 시행 연구: 「일득록(日得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King Jeongjo (正祖)’s Gyeongyeon (經筵): Focusing on 「Ildeukrok (日得錄)」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저자명
최두진(Doo-Jin Choi)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제39권 제3호, 167~19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조(正祖)의 경연(經筵) 시행 변화에 대한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경연은 임금이 학문을 바탕으로 신하들과 함께 국정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는 학문과 정사의 장이었다. 그러나 정조는 1791년 이후로 경연을 거의 시행하지 않았다. 호학군주로서 정조는 경연을 보다 잘 활용할 것 같았지만, 그는 경연에 대해 다른 선대의 임금들과 달리 소극적이었고, 경연의 시행과정에서는 『홍문관지』에 나타나는 제도적 절차에 따르는 것으로 그쳤다. 경연의 시행 추이를 보면, 초기(1776-1780)에는 선대와 같이 경연을 자주 시행하였으나, 초계문신제가 시행되는 중기(1781-1791)부터는 실시 빈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정조가 지방에 관심을 기울이는 무렵인 후기(1792-1800)에는 경연을 중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렇게 변화하게 된 정조의 경연 시행의 이유로 세 가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경연이라는 틀에 갇힌 학문보다 일상적 학문의 중요성, 둘째, 경연관들의 경학에 대한 자질 부족, 셋째, 바쁜 정사 속에서 개인적으로 학문에 정진하고자 했던 것이, 경연의 시행에 영향을 주었다고 여겨진다. 정조는 당시의 경연이 경연관의 자질 부족 등으로 형식적인 데에 그친다고 여겼기 때문에, 호학군주(好學君主)임에도 불구하고 경연을 시행하는 것보다는 일상에서 평소에 책을 읽고 학문에 정진하는 것을 더 선호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elucidate the reasons for the cha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Gyeongyeon (經筵) under King Jeongjo (正祖). Gyeongyeon served as a forum for academics and government discussions, allowing the king to engage in scholarly discussions with his subjects on state affairs. However, Jeongjo rarely held Gyeongyeon after 1791. While actively engaged in academic pursuits, Jeongjo, as his reign progressed, became less active in utilizing the Gyeongyeon than actively pursuing it. Examining the evolution of Gyeongyeon implementation reveals that in the early period (1776-1780), Gyeongyeon was frequently held, as had previous kings. However, from the mid-period (1781-1791), when the Chogyemunsin (抄啟文臣) system was implemented, the frequency of Gyeongyeon decreased. Furthermore, in the later period (1792-1800), when Jeongjo began to focus on local affairs, Gyeongyeon was discontinued. Three reasons for these cha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Jeongjo’s Gyeongyeon can be examined. First, everyday learning was more important than the academic pursuits confined to the framework of the Gyeongyeon. Second, the Gyeongyeon officials lacked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for Confucian classics. Third, they sought to devote themselves to their own studies amidst their busy schedules. Jeongjo thought that the Gyeongyeon were merely formalities due to the insufficient qualifications of the Gyeongyeon officials. Therefore, despite his active academic approach, he preferred to devote himself to reading and studying on a daily basis rather than to conducting Gyeongyeon.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조대 경연 시행 현황
Ⅲ. 경연 시행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 신하들의 태도
Ⅳ. 정조의 경연관(經筵觀)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두진(Doo-Jin Choi). (2025).정조(正祖)의 경연(經筵) 시행 연구: 「일득록(日得錄)」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9 (3), 167-193

MLA

최두진(Doo-Jin Choi). "정조(正祖)의 경연(經筵) 시행 연구: 「일득록(日得錄)」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9.3(2025): 167-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