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Flow of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nts’s in College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조윤정 배을규 박상오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7권 제3호, 215~24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의 학습 성과를 증진하고자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Luthans 외(2006)가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척도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 Ryan과 Deci의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이명희, 김아영, 2008), Jackson과 Marsh(1996)의 측정 도구를 김진호(2003)가 번안한 학습몰입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I 대 학교의 원격교육지원센터에서 2022년에 운영한 비교과 이러닝 A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 5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7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36.9%) 회수된 모든 응답을 유효자료로 활용하였다(100.0%).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 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 분석을 거쳤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 본, 학습몰입, 기본심리욕구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매 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연구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이 론적 시사점과 대학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기본심리욕구, 학습몰입의 증진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flow of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61 participants of the A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in I University. For doing so, this article used a instrument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 by Luthans et al.(2006),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Kim & Lee, 2008) and the Learning flow Measurement(Kim, 2003). A total of 207 copies were returned(return rate: 36.9%), and all responses were used as valid data(100.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rticle were the following: First, research variabl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mediating effects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flow.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learning effectiveness of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participants’s in college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해석역학의 일반공변적 형식화에 대하여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초등학교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중심으로
- L1(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수어 문자 쓰기 과제의 YOLO-v8 기반 자동 채점 탐색 연구 : 시각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교육학 개론 수업에서의 학습 경험 분석 연구
- 제주방언 ‘검다’ 계열 색채어 형용사 연구
- 배경변인을 중심으로 한 정서지능과 우울이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비교과 이러닝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 SSTQUAL 서비스품질을 활용한 나이스플러스(NEIS+) 서비스에 대한 고등학생의 수용 의도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