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제도적 복합성과 실천적 정당화 과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Institutional Complexity and the Process of Practical Justification in Small Rur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문지영 엄문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221~2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산어촌 소규모학교 유지에 작용하는 다양한 제도 논리와 조직 내부의 정당화 과정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도 논리(institutional logics)와 제도적 작업 (institutional work) 이론을 토대로 전라남도와 충청남도에 위치한 두 소규모학교 대상으로 한 다중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조직 내부에는 다양한 제도 논리가 병존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조직을 둘러싼 행위자들의 역할이 분화되는 양상이 포착되었다. 이 과정에서 행위자들은 정체성 조율, 윤리·감정적 정당화, 전략적 제도 혼합을 통해 학교와 지역 간 통합 과정을 능동적으로 조정하였다. 이러한 실천적 조정은 학교 조직 정체성과 지역 내 제도적 위상을 재구성하였다. 이는 농산어촌 소규모학교가 교육, 복지, 지역 재생 논리의 교차점에서 복합적 운영 조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다층적인 정당화와 관계 기반의 실천이 제도 변화를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규모학교의 제도화 경로에 따라 정책 지원 전략을 차별화하고, 관계 기반의 자생 구조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지역 고정형 리더십과 협력조직 모델가 같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diverse institutional logics and internal justification processes that underlie the sustainability of small schools in rural and agricultur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Drawing on the theories of institutional logics and institutional work, a multiple case study was conducted at two small schools located in Jeollanam-do and Chungcheongbuk-do. The analysis revealed that multiple institutional logics coexist within these school organizations, resulting in differentiated roles among actors surrounding the schools. In response, actors actively negotiated school-community integration by engaging in identity work, ethical and emotional justification, and strategic blending of institutional logics. These practices contributed to the reconfiguration of both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the schools and their institutional statu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e findings empirically demonstrate how rural small schools are evolving into complex, multi-functional organizations at the intersection of education, welfare, and regional revitalization. Theoretically, the study highlights how multilayered justification and relationship-based practices can serve as key drivers of institutional change. Based on these insights, the study calls for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 strategies aligned with each school's institutionalization pathway, and recommends institutional enhancements such as place-based leadership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s to sustain relational and autonomous structur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방법론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 고교-지역기관 연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사례 연구: 지역사회 내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고등교육 실천 영역에서 교육학의 성과와 과제: 학부교육 개선 및 질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지역과 계층의 교차: 소득 수준에 따른 지역 간 학업성취도 성장률 차이 분석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수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수업의 질과 사교육의 상호작용 효과
-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제도적 복합성과 실천적 정당화 과정 분석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