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Helplessness: A Multi-group Analysis by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장승민 이자형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301~3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 2∼3차(2019∼2020)를 사용하여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에서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을 완화하기 위한 주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엄정히 규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의 SES가 높을수록 자녀의 학업 무기력은 감소했으며 부모의 통제적 양육태도가 강할수록 자녀의 학업 무기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학교 사회자본과 그릿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교 사회자본과 그릿은 학업 무기력을 완화하는데 유의미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학업성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중상위권 학생과 하위권 학생 간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권 집단에서만 부모의 SES가 낮을수록 통제적 양육태도로 이어지는 경향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상위권 집단에서만 부모의 통제적 양육태도가 강할수록 자녀의 학교 사회자본이 감소하고 학업 무기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완화를 위해 학생 맞춤형 정서지원 프로그램 운영, 부모 양육태도 검사 및 개선 프로그램 운영, 학교 사회자본 증진을 위한 공동체적 학교문화 조성 및 그릿 증진 프로젝트 운영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alleviation of academic helplessness among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n society by utilizing data from the 2nd and 3rd waves (2019–2020) of the KCYPS (201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rigorous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ES)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academic helplessness among students, whereas a more controlling parenting style was linked to increased academic helplessness. Furthermore, controlling parenting negatively influenced students' school social capital and grit. Both school social capital and grit functioned as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s in mitigating academic helplessness. Next,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upper-middle-achieving and lower-achieving student groups. The results revealed that, only within the lower achieving group, lower parental S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s. In contrast, in the upper-middle-achieving group, stronger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reduce students' school social capital and increase their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policy interventions to alleviate academic helplessn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 고교-지역기관 연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사례 연구: 지역사회 내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고등교육 실천 영역에서 교육학의 성과와 과제: 학부교육 개선 및 질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지역과 계층의 교차: 소득 수준에 따른 지역 간 학업성취도 성장률 차이 분석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수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수업의 질과 사교육의 상호작용 효과
-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제도적 복합성과 실천적 정당화 과정 분석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