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지역기관 연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사례 연구: 지역사회 내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ase Study of Joint Curriculum between High schools and Local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within the Local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안영은 이유라 이승호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29~6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라 교과목 다양성 확보의 대안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고교-지역기관 연계 공동교육과정’의 운영사례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그 협력과정과 고유한 특징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지역기관 연계 공동교육과정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는 J지구와 K지구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기관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공통적으로 관측되는 협력과정이 존재하였으며, 준비 단계에서는 ‘윈윈(Win-Win) 전략’에 따른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특징적이었다. 둘째, 실행 측면에서 지역기관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현장성 높은 강의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지역 이해도를 제고하여 궁극적으로 내 고장에 대한 ‘책임감 및 공동체성’ 함양과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셋째, 평가 및 환류 측면에서는 현재 도입 초기 단계로서 안정적 안착을 위해 다소 ‘느슨한’ 평가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역기관연계 공동교육과정은 기관 간 집적 정도, 지자체의 협조, 지역학교의 필요 충족 등의 특수한 선결조건이 요구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지역기관 연계 공동교육과정의 특수성을 이해한 정책 도입, 지방 활성화 방안으로서의 적용 가능성, 지역 맥락을 고려한 세부 운영방식 설계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response to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Joint Curriculum between High schools and Local Institutions" as a potential alternative for securing subject diversity. Through in-depth case analyses of District J and K, where such programs are actively operated, the study explores the collaborative processes involved and identifies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ommon collaborative process was identified, with the preparation phase marked by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based on a "Win-Win strategy." Second, from an implementation perspective, the Joint Curriculum provided field-oriented lectures and enhanc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ir local communities. This is expected to foster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toward their hometowns and contribute to regional revitalization. Third, in terms of evaluation and feedback, a relatively flexible assessment system was observed, reflecting the program’s early-stage implementation and the need for stable institutionalization. Lastly, the curriculum’s successful operation depended on specific preconditions, such as the density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and the ability to meet the needs of local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local institution collaboration, considers its potential as a strategy for local revitaliza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implementation methods that are sensitive to regional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 고교-지역기관 연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사례 연구: 지역사회 내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고등교육 실천 영역에서 교육학의 성과와 과제: 학부교육 개선 및 질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지역과 계층의 교차: 소득 수준에 따른 지역 간 학업성취도 성장률 차이 분석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수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수업의 질과 사교육의 상호작용 효과
-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제도적 복합성과 실천적 정당화 과정 분석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