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Behaviors by Online Learning Clusters: Focus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진아 이유경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191~22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학의 온라인 학습환경 부상은 온라인 학습환경에 대한 점검과 온라인 학습에 임하는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자 유형을 알아보고, 학습자 유형별 학업행동을 분석하였다.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고 온라인 수업을 한 학기 이상 수강한 경험이 있는 383명(여자 165명, Mage = 22.4)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기조절학습(메타인지, 도움요청, 노력지속, 환경관리)과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충족을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의 하위구인 수준에 따라, ‘상위 집단(n = 99, 26%)’, ‘중상위-낮은 관계 집단(n = 84, 22%)’, ‘중위 집단(n =120, 31%)’, ‘하위 집단(n = 84, 22%)’의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각 군집의 학업행동 비교를 위해 지각된 학업성취도, 수강지속의사, 학업지연행동을 준거변인으로, 디지털활용기기 사용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여 MANOVA 및 MANCOVA분석을 통해 군집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각 군집은 ‘상위 집단’, ‘중상위-낮은 관계 집단’, ‘중위 집단’, ‘하위 집단’ 순으로 지각된 학업성취도와 수강지속의사는 높고 학업지연행동은 낮게 나타나,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가 높을수록 온라인 학습환경에 적응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중상위-낮은 관계 집단’을 통해 낮은 관계성 욕구가 온라인 학습자의 한 유형적 특성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변인 중심 분석에서는 드러나기 어려운 차별적인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결과는 온라인 환경에서 관계성에 대한 정서적 지원이 학습자의 적응을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rise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higher education has highlighted the need to examine such environments an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engaged in online learning. In respon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ypes (i.e., cluster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academic behaviors across the clusters. A total of 383 undergraduate students (165 female; Mage = 22.4)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ll of whom had taken at least one semester of online course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metacognition, help-seeking, persistence, environmental structuring) and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s a result, four learner clusters were identified: High (n = 99, 26%), Moderate-High with Low Relationship (n = 84, 22%), Moderate (n = 120, 31%), and Low (n = 84, 22%) clusters. To examine differences in academic behaviors across these clusters,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intention to persist in online course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used as criterion variables, while digital device usage was controlled. MANOVA and MANCOVA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mpare cluster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Moderate-High with Low Relationship, Moderate, and Low clusters exhibited progressively lower levels of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persistence, and increasingly higher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at ord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re associated with more adaptive responses to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Notably, the identification of the Moderate-High with Low Relationship through cluster analysis suggests that low relatedness may be a defining characteristic of certain online learners—a distinction that may not be readily detected through variable-oriented approaches. This finding carries important educational implications, indicating that providing emotional support for students' relatedness in online environments may enhance their adaptation and engagement in such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아,이유경. (2025).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 (5), 191-220

MLA

김진아,이유경.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5(2025): 191-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