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ocial Burnout Scale for College Students Using Multidimensional Rasch Measurement Mode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허인화 정선영 하아영 김유나 조한익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63~9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신체소진, 인지소진, 정서소진 및 행동소진의 4개 요인 40문항을 개발하였다. 척도개발에 필요한 설문조사는 온·오프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 53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개발된 40문항에 대한 요인구조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차원성 검증, 응답범주의 적절성, 문항적합도, 피험자-문항분포도, 차별문항기능 분석 및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단일차원과 다차원 모형 비교에서 4요인의 다차원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적합도 지수는 6개 문항을 제외한 34문항이 기준에 부합하였으며 차별문항기능 분석에서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의 요인별 준거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성취목표, 기본심리욕구, 대학생활적응 및 우울과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EAP/PV 신뢰도, 분리신뢰도 및 Cronbach α 계수를 살펴본 결과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ocial burnout scale for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the multidimensional Rasch model. We developed 40 items of 4 sub-factors: physical burnout, cognitive burnout, emotional burnout, and behavioral burnout.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survey online and offline and analyzed responses from 531 four-year college students. We conducted dimensionality analysis, assessed the appropriateness of response categories, evaluated item fit, examined subject-item distribution, performed differential item function analysis, and analyzed criterion-related validity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40 preliminary items. We determined that the four-factor multidimensional model was suitable by comparing the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models. In the item analysis, 34 items met the standards, a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 revealed that no item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Social burnout is correlated with social achievement go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djustment in college life, and depression in criterion-related validity. Last, the EAP/PV reliability, separation reliability, and Cronbach α coefficient of the scale were go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pplied the multidimensional Rasch model to develop and validate a social burnout scale for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 고교-지역기관 연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사례 연구: 지역사회 내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고등교육 실천 영역에서 교육학의 성과와 과제: 학부교육 개선 및 질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지역과 계층의 교차: 소득 수준에 따른 지역 간 학업성취도 성장률 차이 분석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수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수업의 질과 사교육의 상호작용 효과
-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제도적 복합성과 실천적 정당화 과정 분석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