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oafing and Academic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in Group Projects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Task Costs and a Gender-Based Multi-Group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한종임 장유진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333~36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별 과제 상황에서 대학생의 지각된 태만이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과제비용(노력비용, 기회비용, 정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Mplus 7.1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태만은 학습 참여를 부적으로, 학습 이탈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 분석 결과, 지각된 태만이 학습 참여와 학습 이탈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노력비용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태만이 학습 참여를 직접적으로 낮추지만, 노력비용을 매개로 학습 참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태만은 학습 이탈을 직접적으로 높이지만, 노력비용을 매개로 학습 이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각된 태만은 정서비용을 매개로 학습 이탈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에서 과제비용 하위요인별 매개효과에 대한 성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지각된 태만이 노력비용을 매개로 학습 참여를 높이고 학습 이탈을 줄이는 효과는 여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학습 참여를 촉진하고 학습 이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제비용의 특성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적절히 고려한 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loafing and both academic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in group project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task costs (effort costs, opportunity costs, emotional costs)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Data from 500 undergraduates at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collected via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SPSS 25.0 and Mplus 7.1.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loaf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engag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disengagement. Bootstrapping analyses revealed that effort cos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loafing and both academic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Specifically, perceived loafing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lower academic engagement, but it was indirectly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engagement through effort cost. Similarly, perceived loafing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greater academic disengagement but was indirectly associated with lower academic disengagement through effort cost. Additionally, perceived loafing was indirectly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disengagement via emotional cost. Finally, the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the mediated associations via effort cost—linking perceived loafing to higher academic engagement and lower academic disengagement—were significant only among female stud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erceived loafing in group project contexts and indicate that support considering task costs and gender differences is essential for enhancing engagement and reducing dis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종임,장유진. (2025).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교육학연구, 63 (5), 333-365

MLA

한종임,장유진.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교육학연구, 63.5(2025): 333-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