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n Peer Relationship Quality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The Dual Mediation of Social Mindset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원례 한천우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를 매개하여 그들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D시의 2개 초등학교와 2개 중학교로부터 초5∼중3 학생들 1010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SPSS 23.0을 활용하여 사전 기초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하여 2단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시행하여 가설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초·중학생 자녀의 사회적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지니는 사회적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는 그들의 또래관계 질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성장 마인드셋은 사회적 성취목표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는 초·중학생들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고, 또 순차적으로도 이중 매개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 자녀의 사회적 신념과 동기 및 또래관계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자녀의 사회성과 또래관계에 관심과 불안을 가진 부모들에게 긍정적 양육태도 함양의 필요성을 알리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자녀의 사회적 관계를 예측하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사회적 마인드셋, 사회적 성취목표)을 확인하고 부모양육태도와 이들의 인과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부모에게 자녀 심리이해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또래관계 갈등과 어려움을 경험하는 초·중학생들을 돕는 프로그램 개입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peer relationship qua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mediation of social mindset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This study utilized questionnaire data from 1,010 students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t 2 elementary schools and 2 middle schools in D City. SPSS 23.0 was used to conduct preliminary analysis, and Amos 21.0 was used to conduct two-stag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ositively predic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s social growth mindset,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Seco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s social growth mindset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social growth mindse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chievement goals. Third, social growth mindset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ea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also had a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 By confirming that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directly influence children's social beliefs, motiv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form parents about the need to foster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of psychosocial variables (social mindset, social achievement goals) that predict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attitudes may expand par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psychology an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program interventions to help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례,한천우. (2025).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교육학연구, 63 (5), 1-28

MLA

이원례,한천우.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교육학연구, 63.5(2025):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