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AI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유미옥 임은미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5호, 271~3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AI 기반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들을 분석하고, 2022 개정「진로와 직업」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총 7회기로 구성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J대학교 중등 예비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102명)과 통제집단(104명)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회기별 소요 시간은 50분으로 한 주에 2회기 씩 구성하여 1주일 간격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과 종료 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동일한 척도(진로개발역량,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로 구성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 회기별로 서면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양적 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M ANOVA)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중등 예비교사의 진로개발역량과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미래 교육 현장에서 개별 맞춤형 진로지도를 수행해야 할 예비교사의 진로개발역량과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로서 의미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AI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support career exploration using AI tools and to enhance bo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guidance competency using AI. It consisted of seven sessions based on the 2022 revised「Career and Occupation」curriculum and prior studies. A total of 206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 J University participated, with 10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4 in the control group. Each session was 50 minutes and held twice a week. To evaluate effectiveness, both groups completed pre- and post-test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guidance competency using AI.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howed that: 1)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participa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2) it enhanced their career guidance competency using A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ed program can serve as a valuable educational resource for enhancing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guidance competency using AI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xpected to perform career guidance in future educational fiel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초·중학생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마인드셋과 사회적 성취목표의 이중매개효과
- 고교-지역기관 연계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사례 연구: 지역사회 내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 다차원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학생용 사회적 소진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고등교육 실천 영역에서 교육학의 성과와 과제: 학부교육 개선 및 질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지역과 계층의 교차: 소득 수준에 따른 지역 간 학업성취도 성장률 차이 분석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수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수업의 질과 사교육의 상호작용 효과
-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유형별 학업행동: 자기조절학습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제도적 복합성과 실천적 정당화 과정 분석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조별 과제 상황에서 지각된 태만과 학습 참여 및 학습 이탈의 관계: 과제비용의 매개효과와 성별 다집단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 방향 재탐색
-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학업성취에 따른 다집단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