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AI 디지털교과서 연구: 키워드분석 및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AI Digital Textbooks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Focusing on Keyword and Perception Analyse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서희정 이솔비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7권 제2호, 219~24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학술적 논의점과 사회적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학술논문과 언론 및 소셜미디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AI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8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논문 총 79건을 선정하여 빈도분석과 TFᐨIDF분석, Nᐨgram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I 디지털교과서의 현장 도입 및 실행’, ‘학습자 중심 기능 설계’, ‘AI 기반 맞춤형 학습환경 구축’,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자료 개발’의 네 가지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언론 및 소셜미디어 자료를 1차(2023.08∼2024.07)와 2차(2024.08∼2025.04)에 거쳐 수집하여 시계열 및 감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시기에 AI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었으나 2차 시기에 부정적 인식이 급증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AI 디지털교과서의 현장 적용에 있어서의 공동의 합의가 필요하며, 정책의 수립과 시행에서의 보완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I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추진을 위한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및 거버넌스 체계 구축, 디지털 인프라 보완,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등의 정책적 제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추후 일반화를 위한 학교 및 교육청 문서의 추가 분석과 교육현장에서 AI 디지털교과서의 활발한 활용이 이루어진 이후 시점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academic papers, media, and social media data to explore academic discussions and social perceptions on AI Digital Textbook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I Digital Textbook policy. The research methods an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79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4 were se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N-gram analysis,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discussion points were drawn: (1) ‘introduction and execution of AI Digital Textbooks on-site’, (2) ‘learning-centered functional design’, (3) ‘construction of AI-based customized learning environment’, and (4)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using Generative AI’. Second, media and social medi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irst (2023.08∼2024.07) and the second (2024.08∼2025.04) to conduct time series and sentiment analysis. In the first period, expectations for the educational use of AI technology spread, but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perceptions increased rapidly in the second period. This suggests that joint consensus is needed in the field application of AI Digital Textbooks, and sup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in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olicie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proposals and implications such as establishing data utilization guidelines and governance systems to promote AI Digital Textbook policies, supplementing digital infrastructure, and strengthening teachers'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were presented. Further analysis of documents from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for generalization in the future and follow-up studies at the point of view after active use of AI Digital Textbook in the educational field we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사례 분석: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BK21 참여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AI 디지털교과서 연구: 키워드분석 및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진로결정혼란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예측변인의 영향 검증
- 대학생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과 출처 및 윤리 준수 인식에 관한 탐색적 분석: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주배경학생의 아트-스토리텔링 교육을 위한 질적메타분석
-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