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K21 참여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BK21 Program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더미 정주리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7권 제2호, 153~18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K21 참여 대학원생이 거쳐 온 진로발달과정 경험을 이해하고, BK21 참여가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BK21 연구는 주로 사업성과를 중심으로 한 양적연구에 치중되어 있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BK21 참여 대학원생의 개별 진로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질적연구를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BK21 참여 대학원생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는 대학원 입학이라는 진로발달과정, 대학원에서 진로발달과정, BK21 참여가 이들의 진로발달에 미친 영향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통해 발견한 경험의 의미는 (1) 경험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진로를 발달시켜 옴, (2)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학문에 몰입함, (3) 국제적 경험을 통한 시야 확장 및 국제적 역량 개발, (4) 대학원 경험을 토대로 자신에게 맞는 구체적인 진로 설정이라는 4가지의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BK21 참여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고, 내러티브 탐구에서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원생들을 위한 진로교육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BK21 program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BK21 participation on their professional growth.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quantitative approaches to examine the outcomes of BK21;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to explore the individual career experiences and meanings of graduate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BK21-affiliated graduate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career development before entering graduate school, career development during graduate studies, and the influence of BK21 participation on their career trajectories.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narratives, four key themes emerged: (1) developing a career path through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2) engaging in self-directed and active academic immersion, (3) broadening perspectives and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encies through global experiences, and (4) establishing a well-suited career trajectory based on graduate school experiences. The findings offe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BK21-affiliated graduate students and provide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justifications with the framework of narrative exploration. Recommendations for career education tailored to graduate students were discussed, along with an evaluation of the study’s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사례 분석: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BK21 참여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AI 디지털교과서 연구: 키워드분석 및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진로결정혼란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예측변인의 영향 검증
- 대학생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과 출처 및 윤리 준수 인식에 관한 탐색적 분석: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주배경학생의 아트-스토리텔링 교육을 위한 질적메타분석
-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