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AI 협업에 기반한 평가 문항 설계 탐색: 가정 교과 교사의 ChatGPT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Assessment Item Design through Teacher-AI Collaboration: A Case Study of ChatGPT Use by Home Economics Teachers in Korea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백민경(Minkyung Baek) 박찬흥(Chanheung Park)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93집, 259~28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 가정 교과 교사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인 ChatGPT를 활용하 여 서·논술형 평가 문항을 설계하는 실제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교사-AI 협업의 가능성과 조건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 16명은 성취기준 기반 문항 생성, 지문·자 료 활용 문항 구성, 루브릭 요청 및 편집의 3단계 과업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프롬프트, AI 응답, 교사 수정본, 자기 보고서를 NVivo와 Python 기반 도구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대부분 AI 응답을 수정하거나 재구성하였으며, 프롬프트 설계 역량과 교과 전문성이 AI 활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AI의 응답은 초안 제공에는 유용하지만, 수업 맥락과 평가 목적에 부합하도록 보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판단과 편집이 필수적이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가 교사의 교육적 설계 역량과 결합할 때 실질적 협업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교사 중심의 AI 리터러시 교육과 비판적 활용 역량의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analyze how secondary home economics teachers utilize generative AI, specifically ChatGPT, to develop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items, and to identify strategic pattern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Sixteen teacher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al task to design assessment items using generative AI in the context of their actual teaching. The research focused on how teachers constructed prompts, interacted with AI-generated responses, and revised the output.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did not passively accept AI responses but employed structured prompt strategies and iterative modifications to ensure alignment with curriculum standards, student cognitive levels, and instructional contexts. Notably, the quality of AI-generated items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teacher’s prompt design skills. Patterns of AI use also varied by age group and teaching experience, reflecting differences in pedagogical judgment and strategic engagement with the tool. This study suggests that while generative AI offers efficiency and diversity in assessment design, its educational validity depends on teachers’ interpretive agency and expertise. Practical implications are offered for teacher training and curriculum planning in the era of AI-integrat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민경(Minkyung Baek),박찬흥(Chanheung Park). (2025).교사-AI 협업에 기반한 평가 문항 설계 탐색: 가정 교과 교사의 ChatGPT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 259-281

MLA

백민경(Minkyung Baek),박찬흥(Chanheung Park). "교사-AI 협업에 기반한 평가 문항 설계 탐색: 가정 교과 교사의 ChatGPT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2025): 259-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