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사례 분석: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n Analysis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 Operational Models: Focusing on Seoul-Designated Center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서경화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7권 제2호, 77~1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지정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학교교육 지원, 프로그램 질 관리, 인력・조직 운영의 세 가지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운영 특징과 문제점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교육 지원은 학사일정 기반 수요조사와 연간 계획 체계가 마련됐으나, 교사 순환배치와 초・고교 대상 프로그램 부족으로 연계가 단절되는 한계가 드러났다. 둘째, 프로그램 질 관리에서는 체험처 발굴의 지역 편중과 과도한 인증 절차가 제약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파일럿→환류→개선 순환 구조와 메이커・VR 등 신산업 연계 콘텐츠 개발은 긍정적 성과로 도출되었다. 또한 성과 관리는 정량평가 점수(90점 이상)에 비해 교육 효과성・지역 네트워크 반영이 부족해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인력・조직 운영에서는 전반적 예산・인력 부족과 ‘열정페이’ 형태의 과중 업무가 공통 과제로, 직영은 안정성은 높으나 유연성이 낮고, 위탁은 전문성과 신속 대응력은 우수하나 고용 안정성은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1) 학년별 맞춤형 협의체 운영, 2) 유연한 인건비・인센티브 제도 도입, 3) 직영의 외부 전문가 협업・위탁의 장기계약 확대, 4) 센터장 역량 평가 기준 마련의 네 가지 정책・실천 과제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onal status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design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challenges of two management models—direct public operation and outsourced operation—across three core domains: school support, program quality management, and huma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First, in the domain of school support, although a demand survey and annual planning system based on the academic calendar have been established, teacher rotation and a lack of programs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s have led to disruption in school–center collaboration. Second, in the domain of program quality management, regional bias in site discovery and burdensome certification procedures were identified as constraints, whereas the pilot→feedback→improvement cycle and the development of new-industry content such as maker and VR programs yielded positive outcomes. Moreover, performance management was found to underrepresent actual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community networking despite high quantitative evaluation scores (above 90), indicating a need for more balanced metrics. Third, in the domain of huma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mon challenges included insufficient budgets and staffing alongside ‘passion-pay’ workload issues. Directly operated centers exhibited high stability but low flexibility, whereas outsourced centers demonstrated strong expertise and responsiveness but faced employment inst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four policy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1) establish grade-specific collaborative forums; (2) implement flexible compensation and incentive systems; (3) foster expert partnerships in direct operation and extend long-term contracts in outsourced operation; and (4) develop standardized criteria for center director selection and eval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사례 분석: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BK21 참여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AI 디지털교과서 연구: 키워드분석 및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진로결정혼란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예측변인의 영향 검증
- 대학생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과 출처 및 윤리 준수 인식에 관한 탐색적 분석: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주배경학생의 아트-스토리텔링 교육을 위한 질적메타분석
-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