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Motivation and Proces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ractice by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윤식 이세중 이재용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7권 제2호, 187~21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교사들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그 경험에 담긴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성평등교육을 실천한 경험이 있는 네 명의 초등 남교사들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탐색적 설문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 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대해 4가지 주요 의미가 나타났다. 첫째, ‘소수자성의 지각과 공감의 경험’, 둘째, ‘성평등 감수성의 토대로서의 가정 문화’, 셋째, ‘배우자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성장’, 넷째, ‘제도적 한계 속에서의 실천적 모색’ 이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천이 개인의 삶과 신념, 관계적 상호작용, 사회・문화적 맥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형성되는 실천적 경험임을 보여준다. 특히 본 연구는 초등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대해 ‘황폐한 땅에서의 농사’로 은유하여 남교사들의 실천이 일상의 교육과정에서 사회적 변화의 씨앗을 심고 가꾸는 과정임을 조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 depth the motivations and processe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practiced by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s embedded in their lived experiences. Adopt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the study engaged four male elementary teachers who had implemented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a three-month period through explorator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revealed four key themes that illustrate the motivations and processes of these male teachers’ engagement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1) experiences of perceiving minority status and cultivating empathy, (2) family culture as a foundation for gender sensitivity, (3) personal growth through interactions with spouses and colleagues, and (4) practical efforts within institutional limit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le teachers’ practice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re deeply shaped by the interplay of personal beliefs, relational dynamics, and socio-cultural contexts. Notably, the study employs the metaphor of “farming on barren land” to capture the teachers’ efforts as a form of planting and nurturing seeds of social change within the everyday curriculum.
목차
Ⅰ. 이야기를 시작하며
Ⅱ.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Ⅲ. 초등학교 남교사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기
Ⅳ.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대해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
Ⅴ. 이야기를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사례 분석: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BK21 참여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AI 디지털교과서 연구: 키워드분석 및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진로결정혼란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예측변인의 영향 검증
- 대학생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과 출처 및 윤리 준수 인식에 관한 탐색적 분석: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주배경학생의 아트-스토리텔링 교육을 위한 질적메타분석
-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