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이용수  2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Academic Skills and Class Participation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by Academic Year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박세진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7권 제2호, 51~7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학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조사는 2023년 9월 1일~25일 서울 소재 A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대학생 406명(1학년 100명, 2학년 80명, 3학년 117명, 4학년 1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소프트웨어 SPSS 26.0과 R 4.4.3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구조방정식 모형과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학년별 매개효과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습능력은 자기효능감을 통한 경로, 학습동기를 통한 경로, 그리고 자기효능감에서 학습동기로 이어지는 이중매개 경로와 같이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수업참여기술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각 매개경로에서 학년에 따라 뚜렷한 발달적 유형이 나타났다. 1학년에서는 학습동기 경로만 유의하였으나, 2학년에서는 이중매개 경로가 추가로 활성화되었고, 3학년에서는 모든 경로가 동시에 작동하였으며, 4학년에서는 자기효능감 경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학년이 증가할수록 기초학습능력의 직접효과는 감소하고 간접효과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학습자가 성장하며 학습능력이 심리적 매개과정을 거쳐 보다 정교하고 지속적인 참여 행동으로 발현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수업참여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적 접근이 학년별로 차별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저학년에서는 기초학습능력 강화와 학습동기 촉진에 중점을, 그리고 고학년에서는 자기효능감 강화와 메타인지적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둔 접근이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 발달이 단순한 지식 축적이 아닌, 학습에 대한 내적 과정의 질적 변화를 수반하는 복잡한 과정임을 제시함에 따라 학년별로 맞춤화된 교육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academic skills and class participation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mpirically analyzed how these mediating effects vary across academic yea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25, 2023, targeting 406(100 first grade, 80 second grade, 117 students in 3rd grade, and 109 in 4th grad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first to fourth year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R 4.4.3 softw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employed to systematically verify differences in mediating effects by academic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ic academic skills influenced class participation skills through three distinct paths: via self-efficacy, via learning motivation, and through a dual mediation pathway from self-efficacy to learning motivation. Second, developmental patterns across academic years were observed in each mediation path. For first-year students, only the learning motivation pathway was significant. For second-year students, the dual mediation pathway additionally became significant. Among third-year students, all three pathways were simultaneously significant, whereas among fourth-year students, only the self-efficacy pathway remained significant. Third, as academic year increased, the direct effect of basic academic skills tended to decrease, while the indirect effects tended to increase. This suggests that as learners develop, their basic academic skills are increasingly expressed through psychological mediating processes, resulting in more refined and sustained participatory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approaches to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skills should be differentiated by academic year. Specifically, approaches for lower-year students should emphasize strengthening basic academic skills and promoting learning motivation, whereas approaches for upper-year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and developing metacognitive abilities. Consequently, this study highlights that students’ learning development is not merely a process of knowledge accumulation, but rather a complex process involving qualitative changes in internal psychological processes related to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thus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developing tailored educational support strategies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yea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세진. (2025).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교육연구, 47 (2), 51-76

MLA

박세진.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교육연구, 47.2(2025): 5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