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배경학생의 아트-스토리텔링 교육을 위한 질적메타분석
이용수 21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Art-Storytell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황윤아 윤혜림 김영순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7권 제2호, 125~1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트-스토리텔링 기반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를 질적메타분석을 통해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주배경학생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최근 최국적 이주의 증가로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이주배경학생의 학교 적응과 사회통합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술과 이야기를 융합한 교육은 정서 표현, 문화적 공감, 사회적 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이주배경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관련된 질적연구 11편을 선정하여 질적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트-스토리텔링 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이주배경학생의 정서적 안정, 사회적 소통 능력 증진, 언어 발달, 문화적 자기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종합적 의미는 ‘아트-스토리텔링 교육을 통한 전인적 성장’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배경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며 문화다양성을 고려한 교육 설계와 실천 방향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art-storytelling-based programs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udents' education from migration backgrounds based on this. As the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has accelerated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ransnational migratio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and social integration are emerging as important educational tasks. Accordingly, education that combines art and storie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approach to improving emotional expression, cultural empathy, and social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selected 11 related qualitative studie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to secure basic data for design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igration backgrou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a way that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effects and meanings of educational programs shown in each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t-storytelling-based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stability, social communication skills, language development, and cultural self-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igration backgrounds, and its overall meaning was derived as ‘whole growth through art-storytelling education’. These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from migrant backgrounds,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of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directions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사례 분석: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BK21 참여 대학원생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수업참여기술 간 관계: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AI 디지털교과서 연구: 키워드분석 및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진로결정혼란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예측변인의 영향 검증
- 대학생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과 출처 및 윤리 준수 인식에 관한 탐색적 분석: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주배경학생의 아트-스토리텔링 교육을 위한 질적메타분석
- 초등학교 남교사의 성평등교육 실행 동기와 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