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 기반 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교사의 경험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eachers’ Experiences with AI-Based Learning Materials in Education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강태훈(Taehoon Kang) 김준엽(Junyeop Kim) 박주형(Juhyoung Park) 박찬호(Chanho Park) 오민아(Minah Oh)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93집, 283~3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인공지능(AI) 기반 학습자료 활용 경험을 통해 AI 기반 학습자료의 교육 현장 내 성공적 안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I 기반 학습자료 활용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FGI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질적 자료는 주제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 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AI 기반 학습자료 활용 계기’, ‘AI 기반 학습자료 활용을 위해 필요한 여건’, ‘교수·학습과정 내 AI 기반 학습자료의 실제 활용 모습’ 및 ‘AI 기반 학습자료 활용의 효과성’으로 이루어진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 다. 둘째, 첫 번째 범주는 개인적 동기와 교육환경 및 정책 변화의 2개 주제로 구분되었 고 두 번째 범주는 교육청 차원의 지원과 학교 차원의 준비로 구분되었으며 세 번째 범주는 학생맞춤형 수업 실행과 학생 중심 수업 도모로 구분되었다. 네 번째 범주는 교사 차원의 효과성과 학생 차원의 효과성으로 나누어졌고 총 19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I 기반 학습자료를 수업에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AI-based learning materials into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eachers utilizing AI-based learning materials. To achieve thi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AI-based learning materials.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ur categories were derived: “Teacher’s motivation for using AI-based learning materials,”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use of AI-based learning materials,” “Actual use of AI-based learning materia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AI-based learning materials.” Second, the first category was divided into two subthemes: personal motivation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olicy. The second category was divided into two subthemes: support from the education office and preparation at the school level. The third category was divided into two subthemes: implementation of studenttailored lessons and promotion of student-centered teaching. The fourth category was divided into two subthemes: effectiveness at the teacher level and effectiveness at the student level. A total of 19 sub-them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successfully applying AI-based learning materials in the classroom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태훈(Taehoon Kang),김준엽(Junyeop Kim),박주형(Juhyoung Park),박찬호(Chanho Park),오민아(Minah Oh). (2025).인공지능 기반 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교사의 경험 연구. 교육연구, (), 283-302

MLA

강태훈(Taehoon Kang),김준엽(Junyeop Kim),박주형(Juhyoung Park),박찬호(Chanho Park),오민아(Minah Oh). "인공지능 기반 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교사의 경험 연구." 교육연구, (2025): 283-3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