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5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Personnel Selec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우현정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7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 인재양성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작업 중 일부로서 역학과 의학, 음양학 3개 학문의 교육과정과 인재선발제도를 함께 정리하고, 각 학문이 가지는 운영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역학과 의학, 음양학을 담당하는 사역원과 혜민서, 관상감은 각각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해당 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된 인재를 자체적으로 선발하여 관료로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교육기관이 운영하였던 각각의 시험의 종류와 명칭 등은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입속-과거-취재라는 기본 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각 교육기관별 잡학 간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기관별 교육과정의 양상은 다르지만 인재양성의 결과로 관료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과거 입격보다는 취재라는 자체적인 선발 시험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잡학을 담당하는 기관에서 관료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기관에 반드시 소속을 두고, 끊임없이 요구되는 취재와 취재자격을 획득하기 위한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잡학에서의 인재양성은 공통적으로 입속-과거-취재의 3단계로 이루어지는 반면 유학에서의 인재양성은 사부학당-소과-성균관-문과의 4단계로 이루어졌다. 또한 각각 관료로서 진출하기 위해 잡학의 경우, 잡과 합격도 중요하지만 각 기관 내 취재에 응시하는 것이 중요했고, 사부학당 유생과 성균관 유생의 문관 진출에서는 문과 합격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조선후기 잡학의 인재양성과 선발이 각 기관별로 자체적인 교육과정을 중시하면서 해당 교육과정을 통한 학습과 평가를 성실히 받은 이들이 관료로 진출할 수 있게 공통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만 이 글에서 주로 사용한 자료는 사역원, 혜민서, 관상감에서 발간한 19세기 관청지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시기별로 그 특성이 다를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rms part of a broader inquiry into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specifically on three technical fields—interpreting (yeokhak), medicine (uihak), and astronomy/geomancy (eumyanghak)—all of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e Japgwa (miscellaneous licentiate examinations), it seeks to examine both the educational curricula and recruitment systems in place for each discipline. The goal is to identify shared structural patterns and institutional distinctions in their operational mode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ayogwon (Office of Interpreters), Hyeminseo (Medical Bureau), and Gwansanggam (Bureau of Astronomy and Meteorology) each maintaine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and directly appointed bureaucrats from within their pool of trained personnel. While the specific names and formats of the examinations administered by each agency differed, a common structure—comprising initial affiliation (ipsok), national examinations (gwageo), and internal institutional assessments (chwijae)—was consistently observed. Seco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a across these institutions revealed differences in content and format, yet demonstrated a shared emphasis on chwijae over national-level Japgwa exams in the actual process of bureaucratic appointment. This finding supports conclusions drawn in previous research. Entry into government service in these fields required not only formal affiliation with the relevant bureau but also active and sustained participation in institutional evaluations to earn qualifications necessary for advancement. Thus, internal examinations functioned as the most critical step in professional progression. Third, a comparison between technical training and the Confucian education track revealed both similarities and divergences. The technical path typically followed a three-stage process—ipsok, gwageo, and chwijae—while the Confucian route comprised four stages: Sabuhakdang (government-affiliated local academies), Sogwa (lower civil examination), Sungkyunkwan (state Confucian academy), and Mungwa (higher civil examination). In the technical disciplines, although passing the Japgwa had formal importance, success in chwijae was more crucial for actual bureaucratic appointment. Conversely, for Confucian scholars, passing the Mungwa was the key determinant for official placement. These differences reflect the contrasting institutional logics underpinning the two educational systems—bureau-centric advancement versus examination- centered meritocracy. In summary, while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nd recruitment processes varied among institutions, the late Joseon technical fields shared a common model that prioritized internally managed training and evaluation. Institutional curricula were designed not only to educate but also to function as pipelines for official selection, ensuring that those who progressed had demonstrably fulfilled the requirements of both learning and evaluati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is primarily based on 18th- and 19th-century official records (gwancheongji) published by the Sayogwon, Hyeminseo, and Gwansanggam. As such, the findings may not fully capture chronological or institutional variation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earlier periods or other agencies such as the Jeonuigam (Royal Medical Office). Further research that includes a broader range of sources and traces the actual career trajectories of practitioners such as interpreters, physicians, and astrologers would provide a more com- prehensive and grounded understanding.

목차

Ⅰ. 서 론
Ⅱ. 잡학 전공별 교육과정
Ⅲ. 전공별 교육과정의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현정. (2025).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47 (2), 1-23

MLA

우현정. "조선후기 잡학 교육과정 및 인재선발의 특성: 역학과 의학, 음양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47.2(2025):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