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이용수 0
- 영문명
- Climate Change and Climate Crisis Response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송은아 노자헌 김종희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5권 제2호, 45~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관련 내용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시계열적 및 교과 간 차이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기후변화 메커니즘’, ‘기후변화의 현상 및 영향’, ‘기후위기 대응’ 세 영역을 비교적 균형 있게 다루며 과학적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였으나, 사회적 실천 측면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제시되었다. 또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보다 빠른 시기인 초등 3∼4학년부터 도입되었으며, 등장 빈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과와 사회과는 기후변화를 각각 과학적 탐구와 시민적 책임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었으며, 선택 과목에서도 교과 성격에 따라 교수⋅학습 초점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의 과학적 원리와 사회적 대응이 연계될 수 있도록 성취기준 간의 균형성 확보, 사회적 실천을 위한 수업 수준의 재구성, 과학과 사회를 연결하는 통합적 교육과정 설계 및 교수학습 전략의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climate crisis response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Based on this analysis, a comparative examination was conducted with the 2015 revised science and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a to identify diachronic and cross-curricular differ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2022 science curriculum addresses the three domains (climate change mechanisms, climate change phenomena and impacts, and climate crisis response) in a relatively balanced manner, with a strong emphasis on understanding scientific principles. However, the aspects related to social action were comparatively underrepresented. Compared to the 2015 curriculum, climate-related content appeared earlier (beginning in grades 3–4 of elementary school) and with greater frequency increased. While the science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both addressed climate change, they did so from the perspectives of scientific inquiry and civic responsibility, respectively. This distinction was also evident in elective subjects, in which the instructional focus varied by subj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article suggests the need to ensure the balanced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and social aspects in achievement standards, reconstruct classroom practices to include social action, and develop integrated curriculum design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bridge science and social studies for a more comprehensive climat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