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Ability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신경환 배진택
- 간행물 정보
-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33~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능력이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3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378명의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분석은 SPSS 26.0과 소벨테스트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능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이 높아졌다(β=.188). 둘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능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졌다(β=.264). 셋째, 장애인 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이 높아졌다(β=.174). 마지막으로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능력이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z=13.075). 이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 근로자의 심리정서지원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중요하다. 셋째, 장애인 고용정책 또한 단순히 일자리 수를 늘리는 것에서 벗어나, 개인의 전문성 개발과 복지 혜택 확대를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체계로 확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접근은 장애인 근로자가 존중받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포용적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job 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378 worker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2023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and the research analysis used SPSS 26.0 and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higher the job 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 daily life satisfaction (β=.188). Second, the higher the job 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ir self-esteem (β=.264). Third, the higher the self-esteem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the daily life satisfaction (β=.174).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the job 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z=13.075). Therefor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job 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Second, a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is important. Third,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should also be expanded to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including individual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elfare benefits, beyond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jobs.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n inclusive society in which workers with disabilities can be respected and self-realiz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 정신장애인의 자립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17-2024)
- 웰다잉서포터즈가 초고령재가노인의 죽음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어르신인생노트사업 참여집단 사례를 중심으로
-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연구
-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을 조절된 매개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경험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