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장애인의 자립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17-2024)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Independent Living Support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KCI-Indexed Journals(2017-2024)
- 발행기관
- 한국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이혜경
- 간행물 정보
-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81~9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6년「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전면 개정 이후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확대되어온 정신장애인 자립지원과 관련한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후속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등재학술지(KCI)에 게재된 정신장애인 자립지원 관련 연구 16편을 선정하여 서술적 분석 및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서술적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관련 연구는 연도별로 꾸준하게 이루어졌고, 학술지 분야별로 사회복지 분야가 전체의 5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논문에서 주로 활용된 연구방법론은 질적연구방법이었으며, 질적연구의 주 대상자는 정신장애인 당사자였다.
다음으로 주제별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자립지원서비스 영역 중 주거지원의 효과와 경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립생활을 주요 변수로 다룬 연구의 경우 자립영역에 대한 통합적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과 서비스 현장의 욕구에 맞는 실무자의 다양한 실천 역량의 개발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upport for independent living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particularly following the expansion of community-based services after the full revision of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16. The objective was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rough a descriptive and thematic analysis of 16 related studies publish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journals between 2017 and 2024.
The descriptive analysis indicated a steady increase in publication trends over the years, with the field of social welfare representing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selected articles(56.2%). In terms of methodolog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predominantly used, an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frequently the primary participants.
The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various domain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services, studies focusing on the effects and experiences of housing support were the most common. Additionally, research that highlighted independent living as a central variable underscored the need for integrated service provision across different areas of independence. It also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diverse practical competencies among professionals to meet the needs of service settings eff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imed 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nd responsivenes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services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 정신장애인의 자립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17-2024)
- 웰다잉서포터즈가 초고령재가노인의 죽음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어르신인생노트사업 참여집단 사례를 중심으로
-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연구
-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을 조절된 매개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경험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