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mong Care Workers in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Focused on Elder Abuse Cases from the S Elder Protection Agency in Region J
발행기관
한국복지경영학회
저자명
강희숙
간행물 정보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205~2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을 분석하여 인권감수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의 개별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을 향상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의 노인학대 사례 중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발생한 사례의 상담일지를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황지각은 <체화되지 않은 돌봄 지식>이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하위 개념으로는 ‘앎과 행함의 괴리(이론과 실천의 간극)’, ‘비의료인에 의한 의학적 판단’이 제시되었다. 결과지각은 <노인의 타자화>가 주제로 도출되었고, ‘무공감의 돌봄’, ‘몰관계적 돌봄’, ‘분절된 돌봄’의 개념이 나타났다. 책임지각은 <노인인권 보장자로서의 정체성 결여>을 주제로 하여, ‘전가된 책임’, ‘은폐된 책임’이 개념화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제고를 위해서는 인권교육을 직무 적용성 높은 체험형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고, 인권감수성 훈련프로그램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노인 돌봄 문화 조성과 종사자들이 노인 인권의 보장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종사자, 시설, 지역사회, 그리고 전체 사회의 통합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workers in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three components: situation perception, consequence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It also sought to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human rights sensitivity among care workers. A deductiv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unseling records from confirmed elder abuse case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s documented by a protection agency in Region J in 2024. The findings revealed that situation perception was characterized by the theme “Uninternalized Care Knowledge,” with subcategories “Disparity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Medical Judgment by Non-medical Personnel.” Consequence perception was conceptualized as “Othering of Older Adults,” including “Unempathetic Care,” “Non-relational Care,” and “Fragmented Care.” Responsibility perception was defined as “Lack of Identity as Human Rights Protectors,” with “Shifted Responsibility” and “Concealed Responsibility” as subcategories. The study suggests that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into experiential, job-relevant training to strengthen practical human rights sensitivity.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integrated efforts by care workers, institutions, communities, and society to build a rights-centered care culture and reinforce care workers’ identity as human rights protector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희숙. (2025).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복지경영학연구, 14 (1), 205-226

MLA

강희숙.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복지경영학연구, 14.1(2025): 205-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